[REST API] REST API 규칙/PUT과 POST 차이/PUT과 PATCH 차이
먼저, REST란?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약자이며,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자원(Resource): URI 행위(Verb): HTTP Method 표현(Representations) 즉 REST는 URI를 통해 자원을 표시하고, HTTP Method를 이용하여 해당 자원의 행위를 규정하여 그 결과를 받는 것을 말한다. HTTP Method는 크게 GET, POST, PUT, DELETE가 대표적이며, 보통 CRUD에서 조회는 GET, 등록은 POST, 수정은 PUT, 삭제는 DELETE를 이용한다. GET과 DELETE는 비교적 그 행위가 명확하지만, POST와 PUT을 구분하기 위해서는 멱등성의 개념을 알아야 한다. 참고 💡 멱등성(Idempotence)이란?..
2020. 8. 25.
[pandas] pd.get_dummies() : 데이터전처리/가변수 만들기
[pandas] pd.get_dummies() : 가변수 만들기 머신러닝을 할 때 기계가 이해할 수 있도록 모든 데이터를 수치로 변환해주는 전처리 작업이 필수적이다. 예를들어, 숫자가 아닌 object형의 데이터들이 있다면 (요일-월, 화, 수, 목, 금과 같은) 1️⃣ 먼저 수치형 데이터로 변환을 해주고 (0,1,2,3,...) 2️⃣ 그다음 수치화된 데이터를 가변수화하여 나타내 준다면 기계학습에 적합한 데이터의 형태로 가공된다. 그렇다면, 수치형 데이터로만 바꾸면 될텐데 왜 굳이 더미로 가변수화해야하는걸까? 왜냐하면, 수치형 데이터로만 변환을 하게 되면 서로 간의 관계성이 생기게 된다. 예를 들어, 월요일을 1, 화요일을 2, 수요일을 3이라고 단순하게 수치형 데이터로 변환하게 되면 해당 데이터들 간..
2020. 6. 25.